티스토리 뷰
728x90
어느 정도의 조직을 이끄는 자리에 오르면 늘상 습관처럼 떠들어 대는 단어가 있다.
희망, 꿈, 미래, 소통 등 등과 더불어 그렇게 가기 위한 개혁, 혁신, 변화 등 등.....
나도 내 생각이 서서히 시작되던 20대 이후로 한 30년 넘게 들어 온 말이다.
그 들이 열심히 지껄여 대므로 개혁과 변화, 그리고 혁신이 완성된 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렇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이라면 그들의 열정이 보기도 좋고...
그러나 내 경험상 저들은 그냥 남이 듣기 좋은 단어를 이어 붙어서 떠들 뿐이다.
개혁과 변화, 혁신을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고, 어떤 고통이 따르는 지도 모르고, 어떠한 단점이 있는지도 모른다.
그저 개혁과 변화, 혁신을 자동기계처럼 외치는 것이지 그걸 할 의지도 능력도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유사이래로 개혁과 혁신, 변화가 그렇게 쉽게 발생하지 않은 드문 사건임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
떠듦이 저 들보다 못한 사람들이 개혁/혁신/변화를 주도해서 드문 사건이 된 것이 아니다...
김용옥선생님의 말씀와 야설록만화에 그 힌트가 있다고 본다.
'한줄 베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업, 신상품, 새로운 비전이 잘 안되는 이유.... (0) | 2021.06.06 |
---|---|
세상 사람들의 시기심....<황성> 만화에서 (0) | 2021.05.30 |
혀짤린 하나님 in '철학의 슬픔' (0) | 2021.04.15 |
야설록 만화에서.... (0) | 2021.04.15 |
<혁신의 정석>에서.... (0) | 2021.04.03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i
- 사회물리학
- 경영혁신
- 양자역학
- 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개념
- 스케일의 법칙
- 이노베이션
- 고도를 기다리며
- 불교
- 인식론
- 인공지능
- 지식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파괴적 혁신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샤룩 칸
- 안나 카레니나
- 돈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게티어
- 게티어 문제
- 부정성 편향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최진석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상대성이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