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시스템 공학에서는 실존하는 것을 '시스템'이라고 부르고, 사람이 다루기 쉽도록 근사시킨 것을 '모델'이라고 부른다.
모델이란 구현하기 위해 이미지를 마음속에 그리는 단계에서 다른 해석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시뮬레이션은 일단 모델을 만들면 이 모델을 어떠한 형태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시스템 상태의 분석/해석이 다른 지점에서 미래(future)의 상태(state)를 아는 것을 예측(prediction), 현재와 과거의 관측할 수 없는 상태를 아는 것을 추정(estimation)이라고 구별하고 있다.
(패턴 인식)
패턴: 물리적으로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과 구별하기 위해 물리량이나 개념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
패턴 인식: 이미지, 음성 등의 데이터 분류, 판별, 식별을 수행하는 방법.....관찰한 것을 데이터로 정리하고 분류, 판별, 식별하는 것.
동전 분류 문제....1원/10원/100원/500원과 외국동전, 장난감 동전 등 자동 분류...
ㅇ 특징 추출기: 센서를 이용하여 물리량을 측정하여 특징량을 추출함
ㅇ 특징 벡터: 동전 인식을 위해 복수의 특징량을 벡터 형식으로 표현함
ㅇ 클래스: 이 문제의 경우 4종류의 동전과 유사 동전을 클래스로 구현함. 5개의 클래스가 있음.
ㅇ 클래스 분류기: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몇 원짜리 실제 동전인가 또는 유사 동전인가의 패턴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겨로가를 클래스로 출력함
진원도: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에 있는 모든 점이 정확한 원에서 벗어난 정도를 측정하는 일
광반사도: 빛을 얼마나 반사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
투자율: 자기장의 영향으로 자화 시에 발생하는 자기력선속밀도와 진공에서 나타나는 자기장 세기의 비
[ 자평 ]
전공자나 개발자가 아니라 궁금한 부분만 보았다.
'지능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과 기계에서 벗어나 by 스가쓰케 마사노부 (0) | 2021.05.15 |
---|---|
기계가 모든 것을 다하게 될 때 무엇을 할 것인가? by 말콤 프랭크 (0) | 2021.05.07 |
뇌, 마음, 인공지능 by 아마리 슌이치 (0) | 2021.04.24 |
기계는 어떻게 생각하고 학습하는가? by 뉴 사이언티스트 외 (0) | 2021.04.16 |
지능 전쟁 by 김일선 (0) | 2021.04.1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최진석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불교
- 사회물리학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스케일의 법칙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이노베이션
- Ai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경계의 종말
- 안나 카레니나
- 인공지능
- 파괴적 혁신
- 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상대성이론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고도를 기다리며
- 플랫폼의 시대
- 돈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양자역학
- 경영혁신
- 부정성 편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