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1. 자료분류의 기초 이론
1.1 분류의 개념과 원리
(1) 분류의 연원과 함의
아리스토텔레스(BC 384 ~ 322) 학문을
이론학 : 자연학, 수학, 형이상학
실천학 : 정치학, 윤리학 경제학
제작학: 수사학, 사학으로 분류
인간이 태초부터 사물과 현상을 나름대로 분류하여 삶의 방편으로 활용한 흔적은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 천지, 남녀, 흑백, 대중소, 상중하, 금은동, 동서남북, 춘하추동, 기승전결, 오대양, 1주일, 12달, 12간지 등
분류를 하면 혼돈스럽거나 불분명한 상태를 질서화 내지 계통구분함으로써 명확성, 간결성, 체계성, 신속성,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삶에 편의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기 때문
사물이나 현상을 유별하려면 특징과 속성, 용도 등에 대한 분석과 파악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모든 분류에는 '이해와 분별(分別)'이 함축되어 있다. '이해'는 사물을 일정한 분류체계로 포섭하는 것을 어원으로 하며, '분별'사물을 상위개념에서 하위까지 추론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논리적으로 분류한다'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2) 분류 및 관련용어의 이해
분류(classification)
여러 대상을 동질적인 것으로 군집하고 이질적인 것으로 분리하는 행위복수의 개념이나 실체가 공유하는 속성을 기준으로 군집하거나 더 협의 또는 광의로 구분하는 행위사물을 종류별로 구분하는 것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일정한 기준(성격,특징 등)에 따라 상위의 유개념에서 하위의 종개념까지 체계화하는 과정
개념(concept)
대상의 본질 또는 의미에 대한 인식적 단위(cognitive unit)예) 물고기 형태는 개념에 해당하고 그것에 이름을 부여하면 물고기명, 즉 명사가 된다.
(베이컨의 자료 분류법)
베이컨(1561 ~ 1626)은 인류의 지식 가운데 무엇이 진실이며, 새로 발견한 것인지를 탐구할 목적으로 미개척 영역을 확인하고 미래 연구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서관을 매우 중시하였다.
1605년 2권으로 집대성한 <학문의 진보>..2권은 광범위한 학문을 체계화하고 독자적으로 분류해설한 분류법
아리스토텔레스가 구분한 학문의 3개 영역(이론학, 실천학, 제작학)에 근거하여 인간의 정신상태를 기준으로 지식을 분류
[ 자평 ]
지식의 핵심 원리인 <분류>와 <범주화> 중 <분류>에 대하여 공부할 필요가 있어서 봤다.
'지능 > 인간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뇌, 교육 by 데이비드 A. 수지 역음 (1) | 2025.04.29 |
---|---|
생각 by 사이먼 블랙번(Simon Blackburn) (0) | 2025.04.28 |
지식구조화 키워드 by 조 영기 (1) | 2025.04.27 |
돈이 되는 생각 by 호소야 이사오 (0) | 2025.04.20 |
확실한 지식을 찾아서 버트런드 러셀 by 박 병철 (1) | 2025.04.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파괴적 혁신
- 샤룩 칸
- 지식의 정의
- Ai
- 혁신
- 인식론
- 지식론
- 돈
- MECE
- 이노베이션
- 직감하는 양자역학
- 프레임워크
- 게티어
- 부정성 편향
- 개념
- 게티어 문제
- 인공지능
- 상대성이론
- 생각
- 최진석
- 경영혁신
- 안나 카레니나
- 양자역학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도파민의 배신
- 사고의 본질
- 형식 지정 기법
- 불교
- 사회물리학
- 고도를 기다리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