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원작이 일본 소설인 건 진작에 알고 있었다.

오랫 전에 이 소설을 읽기 전에 나는 이것이 어느 정도는 실화일 거라 생각(기대)하면서 읽던 기억이 난다.

 

 

일본 영화다운 아기자기 하고, 잔잔한 감동이 있는 미니멀리즘한 영화

아래 전문가 평가가 딱 그렇다.

 

★★★
수식만큼이나 간결하고 여배우만큼이나 단아한 영화
-황진미-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영화 내내 본성 자체가 '밝음'을 보여 주는 여배 우 후카츠 에리(Fukatsu Eri, 1973년~)

이 밝은 미소를 어디선가 본 기억이 있었다 싶더니 역시 <춤추는 대수사선, Bayside Shakedown, 1998년>이었다.

다시 봐야 겠다. 

 

또 다른 한 분은 우울한 모습을 영화 내내 보여주는 아사오카 루리코(Asaoka Ruriko, 1940년 ~)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대중적인 수준에서 수학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도 꽤 좋아하는 수가 바로 소수다.

나도 소수에 대한 책을 몇 권 읽어 보았다.

-------------------------------------------

무엇을 사랑한다는 것에 대한 이 영화적인 정의...

-------------------------------------------------

수학자는 아니지만, 느낌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

신기한 운명적인 짝궁....

------------------------------------

참 놀랍게도 새로운 관점과 해석...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학 공식으로 언급되는 것

-----------------------------------------

나도 나이가 들면 들수록 손에 잡히는 책이 수학, 철학, 소설/시 같은 것들이다.

순수학문, 학문의 왕이라는 <수학>, <철학>을 하는 분들의 마음을 조금은 알 것 같은....느낌..

----------------------------------------------------

세 명의 인연으로 맺어진 결과는 '0'이다.

----------------------------------------------------------

출처: 순수의전조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