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tps://blog.kakaocdn.net/dn/cKsLEF/btrp3KTyEWP/gzigiA0FJXu1yRKuvxk6AK/img.jpg)
비비안 리(Vivien Leigh, 1913 ~ 1967년) 버전의 안나 카레니나로 1948년 작품이니 그녀가 35세의 작품이다.
그레타 가르보(Greta Garbo, 1905 ~ 1990년)버전의 안나 케라니나는 1935년 작품으로 그녀가 30세의 작품이다.
소설 속 안나의 나이는 30세로 그레타 가르보가 연기한 안나와 비슷한 나이이지만 내게는 비비안 리의 안나가 더욱 더 소설 속 안나와 비슷하게 보였다.
아직 소피 마르소 버전과 키이리 나이틀리 버전을 보지 못했지만 비비안 리가 아직 살아 있어 30대의 안나를 연기한다면 가장 안나 답지 않을까 싶다.
영화를 보면서 소설을 다시 생각해 보니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는 등장인물들의 심리 묘사나 심리적 변화, 특히 안나와 레빈의 심리가 중요한 축이 되므로 2~3시간의 영화로 만들기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아니 그 이상의 시간으로도 어려울 것 같다. 글이라는 매체로 전달되었을 때 더 환상적인 작품인 것 같다.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https://blog.kakaocdn.net/dn/1sKd0/btrp3VgT1fi/eCB5cVYmdJdCXKQd1GeYh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n99qY/btrp5zkmZje/hpzUHFbE6TC8tNjlKtWka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Yl5yV/btrp6xNb38V/Q9mNZ8LaEC3YHy54V88wA1/img.png)
안나와 오블브론스키의 첫 만남 장면.
내가 감독이라도 브론스키의 눈에 안나가 얼마큼 매력적으로 보이는지를 어떻게 표현할지를 고민했을 것 같다.
---------------------------------------------------
![](https://blog.kakaocdn.net/dn/pr6E6/btrp6QloE2i/cs6vszuKxJC7vrKSNy2pt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bFAuT/btrp5AXTZ80/kYyB3DjkYkgHqXBjAFHONk/img.png)
한 마디 말로 사랑하고 잊고가 가능하다면 그것이 열병적인 사랑이겠는가?!
그렇지 않고, 그렇지 못함으로 이런 소설이 100년을 넘으면서도 읽히고 있으리라.
------------------------------------------------------
![](https://blog.kakaocdn.net/dn/DGH3H/btrqbFXdSsS/RhNTrKKYq45EjB0Rshwg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2TvW/btrp5ADA2Na/rkcIRd57eyMdVhS3RApo7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B8sW0/btrp5zEGnIo/Toywvk36FR6ikG37bsfko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3TLod/btrp3VH3P90/fRpukZ8UGqanvRN7uf6az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K8P4f/btrp5zknf6r/pUJtDtL10sCYJ0185bkEzK/img.png)
운명에게 복수의 심판을 당할 것을 암시하는 안나의 꿈.
소설에도 이런 부분이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를 않는다.
-------------------------------------------------------
![](https://blog.kakaocdn.net/dn/3E2uO/btrp7ihFR4K/TcdORpMBeow5POBjNxDvw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dgAs0/btrp8r6f2IJ/GAKlbjeK22fX2cM82UUKcK/img.png)
함께 하든 안하든 늘 슬픔과 절망은 있다.
다만 '뿐'이 없다는 것이다....슬픔과 절망 뿐이 아님이 다행이다.
---------------------------------------------------
![](https://blog.kakaocdn.net/dn/bQ9kQs/btrp097oQIE/VOXTl9ubpSzuOHdNXKqB8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iGHS/btrp7HagJKw/x3fmWBjqWWhQ73sqaWykL1/img.png)
그레타 가르보 버전이나 비비안 리 버전이나 블론스키는 다 기억에 없는데, 남편인 알렉세이(카네린) 역은 정말 다 얄밎운 배우로 잘 고른 듯..
---------------------------------------------
![](https://blog.kakaocdn.net/dn/bQ0gUp/btrp3WfR6V4/xD8rP0OGwGQsv2uX9a2o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x0oam/btrp6RLqC1W/sWB9Hgh6pXiUWjFzftz6h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A0DwS/btrp6InaHHM/hSchszJOBYtCt8KpDhs2nk/img.png)
운명의 꿈.
----------------------------------------------------
![](https://blog.kakaocdn.net/dn/IZlBE/btrqbE45T8w/f69ZiKk64JWrBtEytakE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j0lI2/btrp3VBfh7K/l1FEGejor56XeTccOkQDZ0/img.png)
맞다. 죽음은 우리가 가진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
아니 그 사람이 가진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
--------------------------------------------------------
![](https://blog.kakaocdn.net/dn/P9OHq/btrp6wHtdz0/O4m2eIBqK45PDuxngRvw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gvw5M/btrp097oZ7M/RhlGYBgk1vKP6ev9yf3k4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zQPfS/btrp8p1Hg4s/TXrRjPb1zQBjXRseG2zBv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aIugV/btrp7Gh66yJ/xpGfvWMUKGc2utubpdYk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EL0z/btrp7ihGdMp/sVrTSkCOMnlLCTU8bwimUk/img.png)
소설을 읽으면서 죽기 전에 안나의 정신 상태가 자아분열증 증세가 아닐까? 싶었다.
분명이 심리적으로 주인공을 분석한 자료도 있을 듯 하다.
영화도 이런 심리적 불안 측면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https://blog.kakaocdn.net/dn/dD3RIP/btrp65blKSS/uukJH6wu4qzMUcCNiCVjH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TXFz/btrp66OS13N/gIydNFc3gdggEAmmH2g1C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KjHp2/btrp5zdBS63/FEQZ3ksSam0qc8PBZ5bP3k/img.png)
눈과 비를, 현실과 이상을, 사랑과 미움을, 신뢰와 의심을 구별하지 못하는 안나.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더리스 / Rudderless / 2004년 (0) | 2022.01.09 |
---|---|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 1997년 (0) | 2022.01.09 |
불량소녀, 너를 응원해 , Flying colors , 2015년 (0) | 2022.01.02 |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 , 1935년 (0) | 2022.01.02 |
모던 타임즈 ,Modern Times , 1936년 (0) | 2022.01.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불교
- 직감하는 양자역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사회물리학
- 경계의 종말
- 스케일의 법칙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플랫폼의 시대
- Ai
- 파괴적 혁신
- 돈
- 혁신
- 경영혁신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고도를 기다리며
- 인공지능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이노베이션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부정성 편향
- 최진석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상대성이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