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앎과 믿음이 다르다는 사람들) 과학자들은 아는 사람들일까요, 믿는 사람들일까요? 과학자들은 믿는 사람들입니다. 아인슈타인에게 믿음은 우주는 주사위 굴리듯 종잡을 수 없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종교라면 질색하는 리처드 도킨스 보세요. 그는 진화의 자연을 철두철미 신봉합니다. 니체의 믿음은 "신은 죽었다"고 해야 사람의 세상이 끄떡없어 진다는 것입니다. 종교가 없어야 사람이 더 잘 산다는 반종교인들도 그 믿음이 만만치 않습니다. ----> 글쎄. 굳이 나눈다면 과학자는 아는 사람들일 것 같은데, 믿는 사람들일까? 아니 따지고 들면 안다고 믿는 사람들이지 않을까?----> 이 책과 같은 시기에 읽은 리 스몰린이 쓴 를 보면 딱이 이 분처럼 과학자들은 믿는 사람들이다라고 하기는 애매..

원제 'Holdovers'는 (권력 있는 직책의) 유임자, 아니 더 적합한 번역은 ' ‘남겨진 자들’, ‘남겨진 것들’ 정도 되는 뜻이라고 한다. 영화를 다 보고 나서 원제를 찾아 보니, 한번 더 생각하면 이해가 되는 제목이다. 데이비드 헤밍슨(David Hemingson, 1964년 ~) 각본에, 의 알렉산더 페인(Alexander Payne, 1951년 ~) 감독의 미국 코메디 드라마 영화 Saving Private Ryan ,1998년> 등의 여려 영화에서 명품 조연을 했기 때문에 이름은 몰라도 얼굴을 익숙했던 폴 지아마티(Paul Giamatti, 1967년~). 이 캐릭터에는 이만한 분이 없어 보인다. 딱 그 선생님의 모습 그대로 인ㄱ 것 같다. 캐릭터가 인물 그 자체인 것처럼 느껴진다. 눈빛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스케일의 법칙
- 인공지능
- 사회물리학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혁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이노베이션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고도를 기다리며
- 상대성이론
-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경영혁신
- 최진석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샤룩 칸
- Ai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경계의 종말
- 불교
- 파괴적 혁신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부정성 편향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돈
- 플랫폼의 시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