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이런 영화는 널찍한 화면과 빵빵한 사운드로 혼자서 조용히 봐야 제격이다.
애석하게도 이 영화가 나왔을 때 극장에서는 보지 못했다. 극장은 아니지만 OTT 덕분에 세 정도 본 것 같다.

소설과 영화 모두 호평을 받은 드문 작품 중 하나다. 소설로도 한 번 읽어 볼 예정이다.
읽어 보기 전에 추정하건대 이것은 소설 자체가 몇 배는 더 대단할 것이다.


몇 개의 블로거를 검색해 보니 누군가는 이 영화를 '판타지' 영화로 보는 분이 있다.
각 자의 관점으로 사물을 보는 법이다. 그렇게 보면 그렇게 보이는 것이고, 그런 것들을 말해주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 메시지 이니...

나는 이 영화는 ‘믿을 수 없는 현실’과 ‘믿고 싶은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다라고 본다.
현실이라고 믿는 것과 현실이라고 믿고 싶은 이야기 사이의 거리에 대한 메시지다.

또한 이것은 바다를 비유로 한 받아들임에 대한 이야기다. 인간은 어디까지, 무엇까지 '바다' 드릴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영화이다..

다시 보면서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어릴 때는 아니지만 나도 40살 즈음에 이른 경험이 있다.
중환자실에서 신을 찾지는 않았지만, 나를 살린 것은 현대 의학이었다.
-------------------------------------------------------------

너무 멋진 신화적 비유다...
인도의 유명한 세 신, 왼쪽부터 시바 ( Shiva / Har ), 비슈누 ( Vishunu / Hari ), 락슈미 ( 라크슈미, Lak-shmi )

-----------------------------------------------------

참 인도다운 감성이고, 인도다운 대사이다.
-------------------------------------------------------

맞는 말씀이다...어떤 길을 가야하지 모르는데, 어떤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 ~
-------------------------------------------------------------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진리나 신이 폭력일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여 이성의 한계를 알지만, 확률적인 것이므로 이성을 차라리 선호하는.....
--------------------------------------------------------------------------

동의하지만 약간은 딴지를 건다면 과학도 우주를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아직 우주에는 우리가 모르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이 96%다. 다만 인류가 도달한 4% 앎도 과학 덕분이고 종교는 인간의 이해에 기여한 것이 없다.

-----------------------------------------------------------------------

실제 바다 영상은 아니겠지만, 바다를 이렇게 아름답게 묘사할 수가 있을까? ~~
소설 <모비딕>과 이 영화를 보면 '바다'가 우주라는 생각이 든다.
저 뛰어 오르는 고래는 '모비딕'의 오마주가 아닐까~~

----------------------------------------------------------------------------------

이 영화는 동물과 인간, 신과 과학, 이성과 감성, 상상과 현실, 바다와 육지, 서양과 동양, 자연과 문명 등의 공존을 말해 주는 것일까?
-----------------------------------------------------------------------------

아... 어머니..
생명의 시작과 끝으로서의 어머니....
-----------------------------------------------------------------------------

막막한 우주에 떠 있는 우리, 바다에 떠 있는 주인공...
기댈 곳은 신인가? 운명인가? 이성인가?
------------------------------------------------------------------------------------

완벽한 굴복과 수용, 받아드림......
그것이 결국 답인가?
-----------------------------------------------------------------------------------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곳이 그런가?.
삶이 곧 이런 모습인가?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고 반복되는 떠도는 섬....
------------------------------------------------------------------------------

이미 일어난 일은 그럼 아무 의미가 없는가? 일어난 일에 집착과 해석이 없다면 의미는 사라지는가?
------------------------------------------------------------------------

멋진 질문이다.
감독이 결국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당신은 어떤 스토리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
(남의 시선으로 더 배우기)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by 안용태)

균형 잡힌 삶이란 무엇인가?

"당신은 어떤 스토리가 마음에 드나요?
의심하는 건 좋은 거예요,
믿음을 굳게 해주니까요."

<라이프 오브 파이>는 현대인이 잃어버린 신비적 체험과 합리적인 것과 비합리적인 것의 대립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파이는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경계를 어슬렁거리는 인물이다.

누멘적 감정(das numinose Gefuhl)이란 독일의 종교학자 루돌프 오프가 합리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종교의 비합리적인 체험을 칭한 것이다. 절대적인 성스러움을 대면하였을 때 느끼게 되는 무의 감정으로, 자신은 아무것도 아닌 듯 오로지 무로 함몰되어 급기야 사라져버리는 감정을 의미한다.

파이의 외침은 분노의 표현이자, 구원에 대한 열망이자, 초월적인 무엇인가에 대한 믿음의 표현이다.

성스러움이 나타나기 위해선 일상 세계가 필요하며, 성스러움은 오직 일상 세계 안에서만 나타나는 것이다..결국 성스러움이라는 것은 초월적 본질로서 이데아와 같은 것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세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주관적 경험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믿음이 본질을 바꾸게 된 것이다.....중요한 건 파이는 믿었다는 것이고, 그 믿음을 통해 나타난 성현은 파이에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전달해 주었다는 것이다. 즉 믿음이 존재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