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2시간 10분이 넘는 페데리코 펠리니(Federico Fellini, 1920 ~ 1993년) 감독의 꼭 봐야할 영화 중 하나.

펠리니 감독과 작품을 했던 많은 여배우들이 등장을 하는 작품

<남과 여>의 아누크 에메(Anouk Aimee, 1932년~ ), 애인역을 한 이본느 퓌르노(Yvonne Furneaux, 1928년 ~), 여배우역을 한 아니타 액베리(Anita Ekberg, 1931 ~ 2015년) 등

아누크 에메
이본느 퓌르노
아니타 액베리

이 영화에 대한 역사적/시대적 배경과, 의미,  상징 등의 해설을 읽지 않으면  영화는 꽤나 지겹다.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

이 영화하면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일 것이다.

헬기로 이송되는 예수상.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왜 중요한지?는 나중에 영화 평론가들의 해석을 보고 알게 되었다.

-----------------------------------------------------------------

원래 흑백영화인데, 이 흑백의 대조가 너무 멋졌다.

백의 수녀님과 흑의 짜리시 기자를 화면 양쪽으로 나눠서 보여 주는 장면.....

또한 소통의 수단으로서의 전화와 수녀와의 대화...

뭔가 감독이 주는 숨은 메시지가 있어 보였다..

--------------------------------------------------------

맞는 말씀이다..

허나 이 배우가 말하는 <사랑>이란 우리가 윤리적으로 지향하는 <사랑>과는 영화 스토리상으로는 매우 다르다.

------------------------------------------------------------

영화 <더티 댄싱 / Dirty Dancing / 1987년 >의 이 춤 장면은 이 영화에 대한 오메주가 아닐까? 

----------------------------------------------------------------

매우 유명한 <트레비 분수(Fontana di Trevi)> 장면..

----------------------------------------------------------------

군중심리, 대중의 광적인 믿음을 보여주는 대사와 장면..

-----------------------------------------------------------------------

조금 만 생각해 보면,

정말 간지나게 멋진 대사...

-----------------------------------------------------------------------

그럴까? 

그리고 이 친구가 말하는 <가난한 삶>이란 무엇일까? 

---------------------------------------------------------------------

영화 속 애인인 막달레나의 대사..

과연 이 여자는 그런 여자인가? 이 여자의 사랑은 그런 사랑인가? 

그런 사랑과 그런 사랑의 사람은 있는가? 

-----------------------------------------------------------------------

나는 이것이 감독이 시청자들에게 건네는 질문처럼 들렸다.

감독이 우리에게, 우리시대에게 보내고 싶은 질책처럼 들렸다. 

-----------------------------------------------------------------------------------------

기괴한 헤어짐과 기괴한 만남..

이것은 또 무엇인가? 

-----------------------------------------------------------------------------

장면 자체도 멋지고,

혹시 우리의 인생 자체를 담아 내는 나선 순환형 상승 구조를 보여 주는 것일까? 

--------------------------------------------------------------------------

두려움....두려움이라..

--------------------------------------------------------------

질펀한 파티 장면과 퇴장 장면.....

왜 일까? 무엇일까? 

----------------------------------------------------------------------

가장 유명한 장면...

왜 이 장면이 그렇게 중요한가? 중요해야 하는가? 는 평론가들의 평론을 보고 더욱 더 이해가 되었다. 

특히 이 소녀의 미소가 왜 그리 중요한지....

그리고 왜 감독은 마지막 모습을 정면을 보고 웃는 소녀로 fade-out을 했는지

 

---------------------------------------

(유럽예술영화 명작 30편  by 신강호)

 

1960년 칸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달콤한 인생>은 당시 이탈리아의 퇴폐적인 상류 사회를 그리고 있다. 

 

매달려 가는 예수상은 당시 로마 사회에서 무기력해진 신의 존재를 상징한다.

 

괴물 같은 형체의 물고기 눈은 종교와 신의 존재에 대한 상징이다.

 

신의 대리인인 천사와도 같은 소녀는 끝내 마르첼로와 의사소통 하지 못한다.

 

결코 '달콤한 인생'을 벗어나지 못하고 여자와 함께 사라지는 마르첼로...

 

소녀의 얼굴은 구원의 상징이다.

 

영화는 신의 부재를 알리는 첫 장면으로 시작해 신을 잃어버린 현대인들의 정신적인 방황과 도덕적 타락을 그리고 있다. 

 

물고기와 그 눈은 그리스도 또는 신의 상징인데, 펠리니는 그 모습을 비정상적이고 괴기스럽게 보여줌으로써 현대인들에게 가까이 다가살 수 없는 종교와 신의 존재에 대해 다시 반문하고 있다.

 

오프닝 장면에서 '아름답지만' 허구인 조각상과 마지막 장면에서 '추하지만' 실재하는 물고기라는 두 가지 기독교 상징이 등장하는데, 두 장면에서 마르첼로는 모두 커뮤니케이션에 실패한다. 

 

소녀의 얼굴은 순수함의 상징으로 정신적이고 자연적인 세계를 나타낸다. 

 

마지막 장면은 그가 끝까지 구원받지 못함을 상징한다. 

 

--------------------------------------------------------

(김세영의 보고싶은 영화, 읽고 싶은 영화  by 김세영)

 

현대 사회의 도덕적 타락에 대한 고발과 구원의 탐색

 

신이 떠난 도시에서 펼쳐지는 타락과 방종의 나날들

 

헬기에 위태롭게 매달려 대롱거리는 예수 조각상의 모습은 이 도시에는 이제 더 이상 신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신이 버린 성서 속의 도시 소돔과 고모라처럼 이 도시 역시 선악의 기준을 잃고 도덕적 혼란에 휩싸이게 될 것음 암시한다. 

 

자본주의 세례를 받은 신흥 부르조아들이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절제한 환락을 추구하는 경박한 도시로 변해있다.

 

흥미로운 기사거리를 찾기 위해 썩은 고기에 몰려드는 파리 떼처럼 줄지어 상류 사회의 사람들을 따라다니는 신문 기자들의 모습이나 가짜 성모 출현 소동 때 뚜렷한 근거 없이 무비판적으로 이를 추종하던 대중들의 모습....

퇴폐적이고 무기력한 삶...

 

그들의 '달콤한 인생' 속에 더 이상의 진실이나 구원은 없다.

 

소녀와의 의사소통에도 실패하는 것이다. 이로써 영화는 마르첼로를 비롯한 상류사회 사람들들이 빠져있는 '달콤한 인생'에 더 이상의 진실이나 구원은 없을 것이라는 암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