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밑줄/연결 ] 첫째, 반야심경에서 사성제를 부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므로 독송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둘째, 우리나라의 대승불교는 상당 부분 힌두화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특히 유식의 아뢰아식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라 사실상 아트만사상이라고 비판하였습니다. 셋째, 선불교는 힌두화된 대승불교가 중화사상으로 콧대가 높은 중국에 전래되면서 유교(성리학)의 심성사상 및 직관과 무위자연을 주장하는 도가(노장)사상과 섞이면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흔적은 하나도 찾을 수 없게 되었으므로 불교라고 할 수 없고 중국의 조사교라고 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점을 지적하였습니다. 불교의 무아에서 '나'는 생활인이나 인칭적 의미에서의 '나'가 아니라 사람을 구성하는 것(오온)에 영혼과 같은 인격적 개..
읽은 책들
2024. 4. 10. 13:02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부정성 편향
- 양자역학
- 안나 카레니나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직감하는 양자역학
- 최진석
- 인공지능
- 혁신
- 이노베이션
- 사회물리학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경영혁신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고도를 기다리며
- 경계의 종말
- 파괴적 혁신
- 불교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Ai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돈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플랫폼의 시대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상대성이론
- 스케일의 법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