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reGIC/btsl1A043MO/ewApy0nfDr18Y5yRleZObk/img.jpg)
[ 밑줄/연결 ] 아마존의 신제품과 서비스의 50% 실패한다고 한다. 왜일까? 무엇이 성공할지 확신할 수 없으므로 끊임없이 새로운 상품을 내놓기 때문이다. 빠른 시간에 적당한 완성도의 신제품을 선보인 후 시장 반응이 좋으면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아니면 거둬들이는 방식이다.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인터넷 기업의 의사결정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 CEO까지 올라갔다가 실무진까지 내려와서 액션을 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3일 정도라고 한다. 이렇게 빠르니까 문제가 생길 경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통상 국내 대기업의 의사결정 시간은 어떻게 될까? CEO까지 올라갔다 다시 실무진으로 내려오는 데 보통 5주가 걸린다. 베조스는 의사결정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한다. 1종 결정과 2종 결정이다. 1종 결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sQCd/btrj2VteTVD/ukpjfGkYBXzKbkJvCkZMXk/img.jpg)
[ 밑줄/연결 ] (DX비전 수립) 1. DX는 기나긴 여정이다. 기업 구성원들의 일하는 태도를 바꾸고, 그 결과로 프로세스가 바뀌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비즈니스로 전환을 이루어가는 과정이다. 2. DX는 1회성 SI 프로젝트가 아니라 적어도 3년 혹은 그 이상 진행되는 상시적 경영 활동이다. 3. DX의 목표는 현실 지향적이어야 한다. 처음부터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 같은 거창한 목표보다는 디지털 도구 도입과 활동, 기존 비즈니스 사물 인터넷화 같은 작은 목표부터 밟아가는 것이 좋다. (DX조직 구축과 인재 확보) 4. DX조직은 전문가들을 배치한 CoE조직이어야 하고, 실행과 마무리를 모두 책임질 수 있는 end-to-end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5. CEO는 DX담당 리더에게 조직 구성에 대..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회물리학
- 데브옵스 도입 전략
- 경영혁신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함께 있으면 즐거운 사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엔진
- 머신러닝 디자인 패턴
-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 경계의 종말
- 스케일의 법칙
- 플랫폼의 시대
- 고도를 기다리며
- 함께 있으면 피곤한 사람
- Ai
- 당신은 AI를 개발하게 된다
- 인공지능
- 최진석
-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이노베이션
- 혁신
- 부정성 편향
- 전략에 전략을 더하라
- 불교
- 상대성이론
- 파괴적 혁신
- 제로 성장 시대가 온다
- 안나 카레니나
- 양자역학
- 돈
- 직감하는 양자역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