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루치아노 플로리다는 우리는 우리 자신을 정보적 환경인 '인포스피어((infosphere)'에 내장되어 있는 정보적으로 체화된 유기체인 '인포로그'로 간주해야만 하는데, 인포스피어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의 경계가 통합된다.
정보라는 단어는 보통의 일상적인 측면에서 관련된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즉,
(1) 우리가 몸짓, 텍스트, 기타 사물을 통해 나타내는 것
(2) 소통의 물질적인 형태 - 비트(bits), 책,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물리적인 메시지와 기록.
전통적/학술적 견해에 따르면 지식(knowledge)은 정당한 진짜 믿음(justified true belief)이고, 따라서 지식으로 이끄는 정보는 정의에 따라 진실임에 틀림없으며, 지식은 일련의 명제로 구성된다......일상생활의 모든 정보가 정의에 따라 진실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상식과 개인적인 경험의 관점에서 보면 어떤 근거도 없다.
인간의 지식과 관련된 의미의 대부분은 다음 세 범주 가운데 하나에 해당한다.
(1) 전달된 지식을 의미하는 지식(knowledge)으로서의 정보
(2) 정보가 형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과정(process)으로서의 정보
(3) 비트, 바이트, 책, 기타 물리적인 매체를 나타내는 사물(thing)으로서의 정보. 실제로는 이는 정보라는 단어의 가장 상식적인 용법으로서 의미를 나타낸다고 인식되는 어떤 물질적인 것과 물리적인 행위도 포함된다. 이 세 번째 의미에서 정보는 문헌(document)에 대한 광범위한 견해와 동의어가 된다.
[ 자평 ]
정보물리학, 정보이론 등의 정보가 아니라 문헌 정보학 관점에서의 정보에 대한 내용이었다.
앞 부분만 읽다가 반납.....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 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by 니시다 케이스케 (0) | 2021.05.02 |
---|---|
인문학도, 개발자 되다 by 마르코 (0) | 2021.01.17 |
SW가 세상을 지배한다 by 김재호 (0) | 2020.12.31 |
DDD Start by (0) | 2020.12.31 |
아키텍트 이야기 by (0) | 2020.12.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회물리학
- 경영혁신
- 지식의 정의
- 최진석
- 혁신
- 부정성 편향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지식의 구조화
- 후감각
- 파괴적 혁신
- 게티어
- 이노베이션
- 양자역학
- 사고의 본질
- 개념
- 형식 지정 기법
- MECE
- 돈
- 상대성이론
- 게티어 문제
- 지식론
- 생각
- 불교
- 인식론
- Ai
- 인공지능
- 고도를 기다리며
- 프레임워크
- 샤룩 칸
- 안나 카레니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