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밑줄/연결 ]
동물행동학(ethology)을 확립한 니콜라스 틴베르헌은 생물의 적응적인 관계성을 관찰하는 사고법으로 네 가지 질문을 만들었다.
1) 내부 구조는 왜, 어떻게 작동하는가? - 해부생리학
2)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는가? - 발생학
3) 어떤 역사적 경위를 거쳐 진화해왔는가? - 계통학
4) 생태계 속에서 어떤 적응적 관계를 맺어왔는가? - 행동생태학
1) 시스템을 이해하고 (해부)
무언가를 관찰할 때는
먼저 해부학관점에서 시작하자.
2) 전체를 파악(전례/계통)
그 다음으로 분류/계통적으로 관찰하자.
이미 존재하는 역사적 사실에서 배우기는 쉽다.
3) 사회(생태)에서 목표를 이해
그리고 생태적 관찰로 나아가자.
복잡한 상황을 파악하기란 간단하지 않은데, 그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계통적인 탐구가 도움이 된다.
4) 예측(미래)
마지막 단계에서 앞선 세 가지 관찰법이 미래를 바라보는 해상도를 높인다.
미래를 고찰하는 '예측'
(사업에서도 사례를 들어보면)
ㅇ 해부 - 리버스 엔지니어링, 부품표(BOM), 조리법, 설명서...
ㅇ 계통 - 역사, 예술의 큐레이션, 프로그래밍에서의 포크
ㅇ 생태 - 마케팅, 밸류체인, 에스노그라피, 대화의 창
ㅇ 예측 - 포캐스팅, 시나리오 플래닝, 비전, SF
대상을 개선하는 해부, 과거의 분류에서 이어진 계통이 20세기적인 분석 방법이라면, 앞으로는 사람이나 자연과의 연결성을 되돌리는 생태 철학, 미래를 위해 창조하는 예측 철학을 바탕으로 한 창조성의 제약을 풀어낼 수 있는 관점이 필수적이다.
해부적 관찰 : 대상 내부에 있는 필수적인 요소를 적는다.
발생 해부 - 창조 순서를 생각한다.
인공물의 창조나 이노베이션에도 선택압력은 자연발생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도 살아남을 창조물을 만들기 위해 명심해야 할 본질적인 관점이다.
[ 자평 ]
지금 내가 '지식'이라는 것을 정리하는데 그 아이디어와 유사하다.
여튼 세상에는 뭔가를 먼저 생각한 사람이 반드시 있다는 것을 다시 확인하게 되었다.
'읽은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헌분류의 이론과 실제 by 최 정태 외 (0) | 2025.04.30 |
---|---|
과학지식의 본성과 발달 by 김 형범 (3) | 2025.04.26 |
생각정리 프레임워크 50 by 요시자와 준토쿠 (吉澤準特) (0) | 2025.04.25 |
생각정리 업무 기술 by 니시무라 가쓰미 (0) | 2025.04.24 |
비주얼 씽킹 by 나가타 도요시 (0) | 2025.04.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프레임워크
- 최진석
- 게티어 문제
- 파괴적 혁신
- 생각
- 안나 카레니나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고도를 기다리며
- 인공지능
- 경영혁신
- MECE
- 양자역학
- 부정성 편향
- 상대성이론
- 인식론
- 이노베이션
- 형식 지정 기법
- 샤룩 칸
- 돈
- 후감각
- 혁신
- 개념
- 지식의 정의
- 지식의 구조화
- 사고의 본질
- 지식론
- 불교
- Ai
- 사회물리학
- 게티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