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스웨덴이 할리우드에 준 걸출한 선물'이라는 (또한 그것이 수긍이 가는) 잉그리드 버그만(Ingrid Bergman, 1915~ 1982년)과 율 브린너를 보고 싶어서 선택한 영화였다.
율 브리너는 동양적인 외모로 러시아인(아나스타샤), 태국인(왕과 나), 이집트인(십계), 아메리카 원주민(사바타) 등 여러 민족의 역할을 맡아도 자연스럽게 그 나라 사람인 듯 보인다.
영화를 보기 전에 율 브린너(Yul Brynner, 1920 ~ 1985년)은 러시아 출신임을 알았지만, 스웨덴 출신의 영국/미국 배우인 잉글리크 버그만이 러시아 황녀의 역할을 하는 것은 배역 선정부터 안 맞았다는 선입관으로 보기 시작했다
다만 중딩 시절주말에만 볼 수 있는 TV로 보는 흑백영화에 아련한 두 분을 한 영화에서 추억해 보기 위해 시간을 썼다.
역사적 배경을 간략히 알고 보면 도움이 더 될 듯 하다.
간략한 배경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족(Romanov Dynasty-Rulers)이 왕위에서 물러났다. 일부 귀족과 시종들은 안전하게 피신을 했지만 황제와 그 가족들은 붙잡혀 감옥 생활을 하다가 1918년에 사형당했다고 전해진다.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는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황후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사이에서 태어난 네 번째 딸로 이후 살아있다는 이상한 소문이 나돌기 시작했다. 이런 저런 가짜들과 논란이 있었으나 2007년 황제와 그 일족들의 유해가 발견되면서 결국 1918년 그날 모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한다.
러시아의 마지막 황녀 아나스타샤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러시아의 마지막 황녀 아나스타샤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아나스타샤 컬러 복원사진)아나스타샤는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1남 4녀 중 넷째이자 4녀로 태어났다.(황제 일가, 맨 오른쪽이 아나스타샤)아나스타샤가 태어난 기념으
www.instiz.net
이 영화는 1957년 29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잉글리트 버그만에게 두 번째 여우주연상을 안겨 준다.
(첫 번째는 1944년 작품인 가스등, 1974년 <오리엔트 특급 살인>으로는 여우조연상을 수상한다)
또한 황녀의 할머니(황태후)로 나오시는 헬렌 헤이즈(Helen Hayes, 1900 ~ 1993년)과 할머니의 시녀로 나오시는 마르시타 헌트(Martita Hunt, 1900 ~ 1969년)등의 조연이 탁월하다.
헬렌 헤이즈는 1932년 영화인 <무기여 잘 있거라>에서 게리 쿠퍼와 함께 주연을 하신 분이다.
기억에 남긴 대사와 장면은
-----------------------------------------
'율 누리너'를 볼 때 항상...
<신사적인 남성미>라는 것이 뭔지가 느껴진다.
연기이기는 하지만 연기라는 흉내만으로 범접하기 힘든 목소리와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태가 있는 것 같다.
---------------------------------------------
나와 관계되었던 사람들의 기억이 사라지고, 나에게도 그 기억이 가물하고
나와 관련된 사물들이 존재하지 않게 될 때...
'나'는 '나'였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
아주 드믈게는...
어떤 이유(사회적이든, 정치적이든, 개인간의 이해관계에서든) 어떤 것들은 '진짜'여야 하거나 '가짜'여야 한다.
진실은 크게 상관이 없다. 명분에 의해서, 이해관계 득실에 의해서...
그저 '어떠해야' 한다.
--------------------------------------------
두 연기파 배우의 내공 대결....
조직에 오래 있다 보면 이 정도느 아니지만...
그 정도가 어찌 될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이용당함'이란 압박감.....
----------------------------------
노인이란..
그저 늙은 사람이 아닌, 단칼에 베어 무를 수 있는, 단순한 지혜를 가진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래야 늙은 사람이 아닌, 제대로 익은 사람의 대접을 받을 수 있는 것..
---------------------------------------
옛날 영화에 자주 나오는 방식...
억지로 꿰어 맞춰서 꼭 관람객들에게 권선징악이나 교훈을 주려는 '훈시'적인 메시지...
아니면 긍정적으로 해석해 본다면
황태후라 하지 못할 만큼, 냉정한 현실주의자다.
황태후라 할 만큼, 시대를 읽는 눈이 있다.
이런 황태후가 있었을까?
아니 황태후는 커녕 이 정도의 관점을 가진 노인이 있다면, 그는 '어른'이다.
뭔가를 자꾸 '가르치'려는 하는 늙은 사람이 아니라, 정말 우리가 들어서 배울 것이 있는 '어른'
-----------------------------------------------
배역으로서의 주인공은 잉그리드 버그만이었지만,
포스나 대사나 영화의 방점을 찍어 주는 내공으로서는 이 분이 이 영화의 주인공..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위의 집 (디 오리지널), The House of the End Times , 2013년 (0) | 2024.12.03 |
---|---|
렌트, Rent, 2005년 (3) | 2024.12.02 |
모래의 여자, Woman in the Dunes, 1964년 (2) | 2024.11.27 |
시티 오브 갓, 2002년 (2) | 2024.11.25 |
필라델피아 스토리, The Philadelphia Story , 1940년 (4) | 2024.11.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지식의 정의
- 불교
- 인식론
- 혁신
- 사고의 본질
- 게티어 문제
- 지식론
- 양자역학
- 사회물리학
- 생각
- 개념
- 인공지능
- 돈
- 후감각
- 고도를 기다리며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 상대성이론
- 게티어
- 경영혁신
- 최진석
- 형식 지정 기법
- 이노베이션
- 지식의 구조화
- 프레임워크
- 파괴적 혁신
- MECE
- 부정성 편향
- 샤룩 칸
- 안나 카레니나
- A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