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 베끼기

지식 in 알아두면 쓸모 있는 철학 상식 사전

비즈붓다 2025. 4. 21. 10:46
728x90

 

(21. 지식의 다양한 츨면 : 앎의 본질)

 

앎이란 무엇인가?

내가 알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내가 믿는 것을 나는 왜 믿는가?

나는 내가 하는 생각을 나 자신에게,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가? 

 

앎에 대한 연구는 무엇을 다루는가? 

 

우리가 인식의 측면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지점이 지식이라고 생각한다면 인식론 분야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상품이 지식....

 

 

(선험적 지식과 후험적 지식)

 

선험적 지식

경험 '이전에' 얻을 수 있는 지식

ㅇ 2+2 =4, 독신남은 결혼하지 않은 남성을 말한다 등 

ㅇ 정의에 따른 것이므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독신남이 결혼 했는지 않 했는지 실제로 확인해 볼 필요가 없다.

 

후험적 지식

경험 '이후에' 얻어진 지식

ㅇ 세계를 실제로 경험한 뒤에 얻은 지식

ㅇ 처칠은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존할 시기 영국의 수상이었다....파리는 프랑스의 수도다...

ㅇ 이성만을 사용해서 파악할 수 없다. 선험적 지식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경험에 의존하는 면이 있다.

지식의 종류 경험과의 연관성
선험적 지식 경험과 상관없이 획득 독신남은 결혼하지 않은 남성을 가리킨다.
후험적 지식 경험의 결과로 획득 파리는 프랑스의 수도다

 

 

(표상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

 

표상적 지식

 명제에 대한 지식

ㅇ 사실, 표상, 개념, 정의 등 교과서와 연관된 지식을 의미

ㅇ 묘사되거나 말로 설명하기 쉽고, 폭넓게 생산되고 알려지기 쉽다.

 

절차적 지식

쉽게 설명될 수 없으며

ㅇ 말로 설명하는 것은 그 지식의 본질을 명확하게 담아내지 못한다.

ㅇ 경험을 소유한 사람의 관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앎

지식의 종류 지식의 내용
표상적 지식 명제, 사실,표상, 개념 기하학적 공리
절차적 지식 체화된 경험(연습 필요) 스키타는 법\, 저글링하는 법

 

 

(분산된 지식)

 

개인의 앎을 넘어 여러 사람이 모인 집합에 적용될 수 있는 종류의 앎

예) 시간이 지나면서 축적된 지식에 의지하는 과학의 발전 같은 것

 

공유되고, 여러 범주로 나누어 다양한 사람이 각각 특정한 분야에 한정된 지식을 갖도록 분산되는 경우도 있다.

예) 스마트폰 생산: 회로를 만드는 사람, 배터리 설계, 스마트폰 자체 디자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특수한 지식과 일반적인 지식)

 

특수한 지식의 중요성

첫째: 자동차나 컴퓨터처럼 지식의 적용 측면에 있어 믿기 힘들 정도로 놀라운 진보를 이루었다는 점

둘째: 고등교육의 구조가 비즈니스의 영역의 전문적인 요구에 응답하는 좁은 분야의 지식을 장려라는 방식으로 발전했다는 점

 

일반적인 지식...상식

역사,자연,과학까지....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지식...

무엇이 가장 탐구할 가치가 있는 지식인지 알고자 하는 욕구

지식의 종류 앎의 주체
개인 한 명의 사람 나무 의지를 꾸미는 방법
여러 사람 여러 사람이나 그룹
시대에 걸쳐 분산되어 있음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방법

 

 

 

(37. 앎 또는 지식의 조건 : 게티어 문제)

 

우리는 생각하고 스스로 확신하는 마음의 상태를 앎 또는 지식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아는가?

우리 또는 다른 누군가가 지식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 위해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에드먼드 게티어(1927 ~ 2021)는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지식인가?>라는 논문...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란 무엇인가?)

 

정당화된 참인 믿음 이론은 직관적으로 호소력이 있는 인식론

 

지식을 달성했다고 할 때 충족해야 하는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는 이론

 

앎과 믿음의 차이는 특정한 정도의 차이다.  앎은 믿음보다 확실성의 정도가 더 높다.

앎과 믿음 사이의 이 관계가 참이라면, 알고 있다고 확신해야 한다는 점에서 지식도 일종의 믿음이라고 볼 수 있다. 

 

정당화된 참인 믿음의 '참' 조건...

참이란 믿음이든 앎이든 우리 머릿속 생각이 아니라 현실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내 집이 흰색이란 사실은 내가 그것을 흰색이라고 믿거나 그렇게 알고 있는 것과 상관없이, 그 집이 실제로 흰색일 때만참이다.

 

정당화된 참인 믿음의 '정당화' 조건...

두 요소인 '참'인 '믿음'이 정당한 이유에 의해 그렇다는 점을 보장하는 조건

참인 믿음을 옳은 이유로 견지한다는 것은 나 자신이 그 믿음을 우연이나 행운이 아니라 적절한 방법에 의해 갖게 되었음을 말한다.

 

그녀가 코커스패니얼 강아지를 데려왔다고 내가 믿은 것이 정당화되려면, 다른 모든 가능한 설명 중에서도 그녀가 코커스패니얼을 데려왔다고 말했거나, 코커스패니얼 강아지를 내 눈으로 직접 보아야 한다. 순수한 우연으로 그녀가 코커스패니얼을 기르는 꿈을 꾼 것은 그녀가 해당 종류의 강아지를 가지고 있다는 나의 믿음을 정당화활 수 없다.

앎에 대한 정당화된 참인 믿음 이론
정당화된 참인 믿음
믿는 내용에 대해서
적절한 정당화 과정이 있어야 함
믿는 내용이
실제 세계와 맞아 떨어져야 함
언급된 내용을
확실히 믿는 사람들이 있어야 함

 

 

(정당화된 참인 믿음에 대한 게티어의 비판)

 

앎이란 조건에 따라 구체적인 방식으로 정당화된 참인 믿음....

 

게티어는 이런 조건들이 충족되었을 때에도 앎이 성취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

 

믿음과  결합한 정당화된 사실은 앎을 확립하기 충분한 조건이 아니다.

 

 

(스미스와 존스의 경우)

 

승진자 명단에 오른 스미스와 존스

회사 대표는 스미스에게 사실 존스가 승진했다고 이야기함

그날 아침 스미스는 존스에게 빚진 동전 10개를 줬음

스미스는 존스가 주머니에 동전을 넣는 것을 직접 봤음. 존스가 동전 10개가 있다는 점을 알고 있음

스미스는 회사 대표의 말과 존스가 주머니에 동전 10개 있다는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결합해 

'주머니에 동전 10개가 있는 사람이 승진하는구나'라고 생각함

 

이 시나리오는 논리적인 문제가 없음

스미스는 주머니에 동전 10개를 가진 남자가 승진한다는 생각을 정당화하게 믿고 있음

 

게티어는 앎과 정당화된 참인 믿음에 문제를 제기함

사실은 대표가 말해 준 것과 반대로 존스가 승진을 하지 못함

승진은 스미스가 하게 됨

스미시는 자신도 동전 10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음

 

스미스의 추론은...'주머니에 동전 10개를 가진 사람이 승진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고, 

신뢰할 만한 정보의 원천이 회사 대표가 그렇게 믿을 만한 정보를 주었으니 이 믿음은 정당화되었음

동시에 이는 참이기도 함. 왜냐하면 결과적으로 주머니에 동전 10개를 가진 사람이 승진을 했기 때문임

그러나 이 모든 조건이 충족된다고 해도, 우리는 스미스가 앎을 가졌다고 생각하지는 않음

 

 

(게티어 문제의 간단한 예시)

 

차창 밖을 보다가 흰 털의 동물이 풀을 뜯는 것을 보았음

자신이 본 것이 양이라고 생각함.

그런데 사실 그 동물은 양이 아니라 박스를 잘라서 양처럼 만든 것이었음

그러나 그 모형 뒤에 진짜 양이 숨어 있었음

순전히 운에 의해서 그 사람은 자신이 양을 보았다고 하는 것에 정당화된 참인 믿음을 갖게 되었음

그러나, 그 사람이, 자신이 양을 보았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움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라 하더라도 앎이 될 수 없다는 사례가 많이 등장...

 

앎 또는 지식을 설명하는 데에는 이 조건들 외에 다른 것이 존재하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