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끼려면 제대로 베껴라 by 이노우에 다쓰히코
[ 밑줄/연결 ]
기업이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결정하기 위한 가장 의미 있는 것은 모방입니다.
'구조의 모방' 즉 고객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기 위한 구조,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사업구조' 모방입니다..
구조의 모방은...
탁월한 관찰력 실힝력을 필요로 합니다. 단순히 동종업계의 다른 회사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의외의 '본'에서 끝까지 학습을 하고 독자적인 구조를 구축해 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얘기가 됩니다.
무엇을 '모델'로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결정적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생산, 유통, 조직의 구조 등에 의한 차별화가 이루어져 있다면 우위는 지속될 수 있다.
모방에는 세 개의 레벨이 있다.
(1) 단순하게 그대로 도입하는 경우
ㅇ 미국에서 성공한 사우스웨스트항공의 모델을 그대로 유럽으로 가져온 라이언에어
(2) 상황에 맞춰 변환하는 경우
(3) 새로운 발상을 얻은 경우
(사업창조/변혁의 5단계)
(1) 현황 분석
ㅇ 사업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평가하면서 자신들의 강점과 약점, 위협과 기회에 대해 압축해야만 한다.
(2) 현황 분석
ㅇ 참조대상이 될 비즈니스모델을 찾는 작업
ㅇ 참조할 모델은 가능한 넓은 범위에서 찾는 편이 바람직하다.
ㅇ 복수의 모델에서 청사진을 그려내는 경우도 있다.
(3) 청사진 그리기
ㅇ 모델을 찾아내 분석하면 자사가 목표로 해야 할 청사진도 분명해진다.
(4) 현상과의 Gap을 역산
ㅇ 청사진을 어떻게 실행으로 옮기느냐를 생각
ㅇ 언제까지 어떻게 그곳에 도착할 것인가를 역산해볼 필요가 있다.
(5) 변혁을 실행
타인의 언동을 관찰해 배우는 행동을 전문적으로 표현하면 대리학습(Vicarisous Learning)이라고 한다.
반면 자신의 성공이나 실패는 경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이라고 한다.
위대한 회사는 사실 모방을 잘하는 회사였던 것이다.
(1) 모방하려는 목적은 무엇인가?
(2) 무엇을 모방할 것인가?
(3) 언제, 어디의 누구로부터, 어떤 식으로 모방할 것인가?
[ 자평 ] 낡았다. 주장도 예시도, 근거도...
배운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모방을 목적으로 하는 의도가 있는 행위다.
비즈니스 가치 창조 시스템과 모델 디자인이 전공인 분의 책이며 2013년 책이다.
이미 낡았다.
차라리 유사한 주장을 하는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화를 전공한 2022년에 맞는 분의 책을 읽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