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인, Shane, 1956년
어릴 때 봤던 TV로 봤던 서부 영화 중 아직까지 강렬하게 남아 있는 영화가 두 편있다.
<황야의 7인, The Magnificent Seven, 1960년>과 바로 <셰인>이다.
<황야의 7인>은 몇 번 봤던 것 같은데, 이상하게 <셰인>은 또 보고 싶어도 기회가, 구할 수가 없었다.
서부 영화에 어울릴 것 같지 않은 곱상한 얼굴의 앨런 레드(Alan Ladd, 1913 ~ 1964년)과 서부 영화에 늘 나오는 대단한 미인이 아닌 마음씨가 좋은 옆집 아줌마 같던 <스미스 씨 워싱톤 가다, Mr. Smith Goes To Washington, 1939년>의 진 아서(Jean Arthur, 1990 ~ 1991년)....
그리고 마지막 장면이 늘 기억이 나는 꼬마 브랜드 드 와일드(Brandon De Wilde, 1942 ~ 1972년)이 기억이 생생하다.
어릴 때 봐서 내가 이 분을 꼬마로 알고 있지 사실 이 꼬마가 아버지뻘이라는 것을 다시 보고 정리하면서 알게 된다.
기억에 남긴 장면과 대사는...------------------------------------------------
영화의 배경이 되는 곳....
장면 자체가 서부 사막 같지 않은 너무 멋진 곳..
------------------------------------------------------
살다 보니, 셰인 선생의 말씀이 맞는 듯......
끈질기게 버티는 놈이, 뭐라도 얻어 먹는 듯...
---------------------------------------------------------------
너무 보고 싶었고, 너무 오랫 만에 다시 보는 영화라...
자기 소개 자체가 감동이었다.
특히 그 동안의 서부 영화의 주인공 총잡이의 이미지와 완전히 다른 깔끔하고 신사적인 캐릭터라는 것이 반전이고..
--------------------------------------------------------
감독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의도한 장면이라고 본다.
보통 사람들의 단합된 힘이....서부를 개척하고...불의에 저항하고...사회를 나아 지게 한다는...
-----------------------------------------------------------
서로가 서로가 가진 아픔과 형편과 사정을 이해하는 것...
--------------------------------------------------
블로거를 정리하는 날 아침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를 보고 왔다.
저 대사가 나름 새롭게 다가 왔다.
쓰기에 따라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는 <도구>라고 보기에는 너무 큰 절멸의 도구, 극강의 수단을 만든 <오펜하이머>의 고뇌를 알 수 있었기에...
-------------------------------------------------------------
뭐지...
두 사람간의 이 미묘한 대사는...
--------------------------------------------------------
"떠나야 할 때가 언제인가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
다시 보는 영화에서 이 대사는 다르게 들렸다....
우리는 <정의가/선함이/공감이/따사로움이/같이 함께 함이/공정함이/이해함이....>이 필요해요라고..
우리는 원래 우리가 이 세상에 있어야 할, 그러한 가치가 필요라는 말로 들렸다.
-------------------------------------------------------------
나는 이 대사가 감독이 이 당시에도 사라져 가는
자유, 민주, 공정, 협동, 이해, 공감 등 등의 사회적 공동체적 가치에 대한 부름으로 다시 들렸다...